관련보도

 

글 수 91
# 원본글
http://www.yonhapnews.co.kr/advisory/2010/10/15/2201000000AKR20101015102800022.HTML?template=3557

<연합시론> 모바일 한글자판 표준화 서둘러라


(서울=연합뉴스) 휴대전화를 비롯한 모바일 기기의 한글자판 표준화 필요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중국이 휴대전화 한글자판의 국제표준화 작업을 독자적으로 추진하려 한다는 소식 때문이라고 한다. 역사를 왜곡하는 `동북 공정'에 이어 우리 고유문자인 한글까지 넘보려 한다는 이른바 `한글 공정' 논란이 그것이다. 중국이 휴대전화나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와 PC 키보드용 한글 입력 표준 등 4가지 한글 표준을 마련 중이라는 보도가 이런 논란을 촉발시켰고, 결국 여당인 한나라당이 이 문제를 공론화하기에 이르렀다. 한나라당은 14일 이 문제를 최고위원회의에서 논의했다. 중국이 모바일 기기 한글 입력 방식의 국제표준을 독자적으로 마련하려는 것이 사실이라면 절대 좌시할 수 없는 일이므로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고 한다. 우리가 모바일 기기 한글자판을 표준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중국이 먼저 국제표준을 만드는 경우를 상상하는 것은 끔찍한 일이다. 여당이 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발 빠른 대처에 나선 것은 잘한 일이다.

  
한나라당 안에서는 남북 간 한글자판의 통일을 국가적 관심사로 추진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왔다고 한다. 하지만, 그것보다 국내 휴대전화 한글자판을 먼저 통일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다. 중국의 `한글 공정' 얘기까지 나오는 현실에 비춰볼 때 15년째 실현되지 않은 휴대전화 한글자판 표준화는 이제 더 미뤄서는 안 될 초미의 과제로 떠올랐다. 현재 국내의 휴대전화는 2천만대에 이르고 북한에는 18만대가 보급돼 있다고 한다. 또 200만명으로 추산되는 중국 내 조선족도 잠재 수요층으로 꼽힌다. 그런데도 국내 휴대전화 한글자판은 제조업체별로 제각각이다. 정부가 1995년부터 10여년간 국가표준화를 시도했지만, 번번이 실패했고 그 이후에는 다시 시도할 엄두조차 내지 못해왔다. 업체 간 시장 점유율 경쟁이 치열할 뿐 아니라 관련 특허만 400여건이나 돼 자칫하면 특허분쟁에 휘말릴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어쨌든 정부가 `한글 공정' 논란에 자극받아 뒤늦게나마 한글자판 표준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니 다행이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한글자판의 국가표준을 되도록 빨리 제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특허권 양도 협상과 관련 업체 간 이견 조정에 서둘러 나서고, 대국민 공청회도 열 것이라고 한다. 중국 등 제3국이 우리나라의 표준을 사용하도록 국제표준화 작업도 병행할 계획이라고 한다. 그러려면 세밀한 준비가 필요하다. 하루빨리 구체적인 추진 일정을 세워 빈틈없이 실행해주길 바란다. 중국 측도 한국이 표준을 제정하면 협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하니 일단 큰 걱정거리는 덜었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한시라도 방심하면 안 될 것이다. 우리의 표준화 과정이 지연되면 `한글 공정'이 재시도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열려 있기 때문이다.

  
한글자판 표준화 작업은 남북통일의 토대를 닦는 일이기도 하다는 목소리에도 좀 더 귀를 기울여주기 바란다. 남북 간에 통일된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은 궁극적으로 통일 비용 절감에도 이바지할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 이런 점에서 국내의 모바일 기기 한글자판 표준화 작업과 함께 남북한의 한글자판 통일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10/10/15 12:03 송고

Tag List
목록 쓰기